건강(Health Care)

28 Health 제대로 알고 읽어보세요! 건강검진 결과표 독해법 “별 이상 없습니다.” 의사의 한마디를 끝으로 건강검진 결과표를 들춰보지도 않는 사람이 의외로 많습니다. 막상 봐도 무슨 내용인지 도통 알아보기 힘든 전문용어로 가득한 건강검진 결과표.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봐야 할까요? 내 몸 상태, 직접 확인하세요 건강검진을 받게 되면 문진부터 시작해 혈액 검사, 소변 검사, 흉부 방사선 검사 등을 받습니다. 검사 후에는 건강검진 결과표가 나오는데 현재 내 몸 상태와 질병 유무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당연히 꼼꼼하게 읽어보아야겠죠? 건강검진 결과표 쉽게 읽는 법 첫 장에 핵심이 있습니다 결과표 첫 장에는 몸 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소견이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정상A’는 해당 신체 기관이 정상임을 뜻하고, ‘정상B’는 수치는 정상이지만 생활 습관 개선 등 예방이 필요한 수준을 말합니다. 이 밖에 ‘질환 의심’ ‘유질환자’ 등은 보다 구체적인 검사가 필요하거나 이미 해당 질환으로 치료를 받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정상B’ ‘정상B’는 적극적 예방이 필요하다는 뜻이므로 수치 변화 추이를 지속적으로 살피고 관리해야 합니다. 비만, 혈압, 혈당은 물론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등 심혈관계 질환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지표는 꼼꼼히 살펴보세요. 꼭 관리해야 혈압, 당뇨, 콜레스테롤 혈압, 당뇨, 콜레스테롤 관련 수치는 20~30대 때부터 신경 써서 관리해야 합니다. 노후에 심장 질환이나 뇌졸중 발생률을 높이는 대표적 요인이기 때문입니다. 정상 범위에서 크게 벗어났다면 나이와 상관없이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반드시 개선해야 합니다. 연령별로 꼭 받아야 하는 검사 20~39세 신체의 이상을 미리 감지해 만성질환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아야 하는 시기입니다. 이를 위해 비만도, 혈압, 흉부 촬영, 간 기능 검사, 이상지질혈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검사 등을 2년에 한 번 정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성의 경우  자궁세포진 검사도 받는 것이 좋습니다.  40~64세 20~39세 검사 항목과 더불어 유방, 대변,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검사 등을 추가로 실시할 것을 권장합니다. 여성의 경우 자궁난소초음파와 골다공증 검사도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족력이 있거나 음주, 흡연을 한다면 더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65세 이상 해마다 정기검진을 하고 각종 암 검진은 물론 치매와 심리 검사를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시기는 뇌졸중 위험이 높으므로 당뇨, 고혈압, 가족력이 있는 경우, 뇌 MRI나 CT 촬영 등을 통해 조기 진단에 더욱 신경 써야 합니다. 건강검진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질병의 조기 발견과 조기 치료에 있습니다. 그러니 건강검진 결과표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됩니다. 귀찮더라도 꼼꼼하게 챙겨 읽고, 중요한 수치는 메모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Written by. 삼성화재 본 콘텐츠의 무단 발췌 및 편집을 금지합니다.

당신을 위한 라이프케어

당신을 위한 라이프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