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방에 생긴 덩어리로 90% 정도는 양성종양입니다.

유방에 덩어리가 만져지거나 유방통 호소 시 유방촬영술, 초음파, MRI 등 영상검사를 통해 병변을 확인합니다.
영상검사상 이상병변이 확인되는 경우 유방생검을 통한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악성 여부를 확인합니다.
유방종양 검사 과정
- 문진
- 진찰
- 유방촬영술
- 유방초음파
- 유방 MRI
- 세침흡인검사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 유방종괴 질병정보

대부분 유방 양성종양은 치료할 필요가 없지만,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유방암(악성종양)으로 진단되면 진행정도에 따라 수술적 치료, 방사선치료, 항암치료를 합니다.

유방 조직검사를 위한 생검방법으로 국소마취 하에 진공보조장치를 이용하여 회전 칼이 달린 굵은 바늘로 유방조직을 잘라 적출하는 시술로 합병증이나 부작용이 드뭅니다.
많은 양의 조직을 채취할 수 있으며 양성종양의 경우 완전 제거를 목적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보통 시술에 30분~1시간 소요되며, 시술 후 30분 정도 압박지혈 및 관찰합니다.

치료 전 확인해 주세요
-
치료 결정 전 전문기관의 권고 기준을 먼저 확인해 주세요.
- 양성종양에 한하여 치료목적으로 제거가 가능하며, 악성종양의 경우에는 다른 치료가 필요합니다.
-
신체에 조작을 가하는 시술로 치료방법을 신중하게 선택해 주세요.
- 영상으로 보이는 종양을 모두 제거했다고 하더라도 조직학적으로 종괴가 아직 유방조직에 남아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실손의료비 청구 시 유의해 주세요
- 청구 사항에 대해 추가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보상담당자가 초음파 검사결과, 조직검사, 진료기록지 등의무기록 제출을 추가로 요청드릴 수 있어요!
- 보험금 심사과정에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경우에는 현장심사를 요청드릴 수 있어요!*보험사기 예방 모범규준 제12조1 근거
※ 예시
- 검사결과 유방 양성병변이 확인되지 않았음에도 시행한 경우
- 검사결과 유방 악성종양이 확인되었음에도 시행한 경우
- 유방관련 미용수술과 동시시행이 가능함을 광고하는 병원에서 시행한 경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