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궁 평활근에서 유래되는 양성종양으로 여성에게 매우 흔하게 발생하며 35세 이상 여성의 40~50%에서 나타납니다.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대부분 가임연령에 발생하며 폐경 이후에 작아집니다.

대부분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나 자궁근종의 크기, 위치 등에 따라 비정상 자궁출혈이나 월경 과다증으로 인한 빈혈, 하복부 압박감 등 증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림. 자궁근종의 종류 : 정상자궁, 근충 내 근종, 장막 하 근종, 점막 하 근종 예시
※ 출처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 자궁근종 질병정보

대부분 증상이 없어 치료가 필요 없으며 경과를 관찰합니다. 다만, 근종이 크거나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는 치료를 시행합니다.
근본적인 치료방법은 수술로 병변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임신 계획 등을 고려하여 근종만 절제하거나 자궁 전체를 제거할 수도 있습니다. 수술을 기피하는 경우, 보존적 치료나 약물치료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하이푸(고강도초음파집속술, HIFU)
체외에서 고강도 초음파를 집중시켜 85℃이상의 강한 열을 발생하여 근종을 태우는 시술입니다. 근종의 제거가 아닌 근종 중심부 괴사를 유도하며,시술 후 1년에 걸쳐 점차 근종이 작아집니다.
- 하이푸 시술대상과 금기증이 있다고요?
-
- 시술대상 18세 이상의 환자로서 출혈, 빈혈 등 증상을 동반하는 자궁근종·자궁선근종을 가진 폐경 전 환자
- 금기증 임신부, 여성생식기 악성병변이 의심되거나 진단된 경우, 생식기 염증이 있는 경우, 중증의 전신질환이 있는 경우

치료 전 확인해 주세요
- 치료 결정 전 전문기관의 권고 기준을 먼저 확인해 주세요.
- 신체에 조작을 가하는 시술로 치료방법을 신중하게 선택해 주세요.
실손의료비 청구 시 유의해 주세요
- 청구 사항에 대해 추가 확인이 필요한 경우에는 보상담당자가 초음파 검사 결과(사진 또는 영상자료), 진료기록지 등 의무기록 제출을 추가로 요청드릴 수 있어요!
- 보험금 심사과정에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경우에는 현장심사를 요청드릴 수 있어요!*보험사기 예방 모범규준 제12조1 근거
※ 예시
- 18세 이하 혹은 폐경 이후의 환자
- 검사결과 자궁근종, 자궁선근증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 여성기능수술 병행 가능성에 대한 확인이 필요한 경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