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보상상식
굴착기 작업 중 일반차량과 접촉 시 소유회사의 배상책임은?
작업하던 굴착기와 자가용의 접촉 사고, 배상은 누가?
도로 공사가 한창이던 어느 날, 굴착기 작업을 하던 홍길동 씨가 근방을 지나던 전우치 씨의 자가용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작업에 한창이던 홍길동 씨가 뒤쪽에서 다가오던 전우치 씨의 자가용을 발견하지 못하고 후진을 하다가 충돌하게 된 것.
작업 당시 홍길동 씨는 앞쪽에서 작업을 지시하던 보조자 임꺽정 씨의 신호에 맞추어 작업하고 있었고,
굴착기의 앞쪽에서 신호를 보내고 있던 임꺽정 씨는 굴착기 뒤에서 직진하던 임꺽정 씨의 차량을 볼 수 없었다.
작업장 근처에는 다른 작업자들이 있어서 근방을 주행하던 전우치 씨에게 주의를 시켰지만 그대로 주행하다가 난 사고였다.
자신의 차가 훼손된 것을 살펴본 전우치 씨는 대뜸 굴착기 운전자 홍길동 씨에게 배상을 요구했다.
홍길동 씨는 보조자 임꺽정 씨의 신호에 따라 작업을 하고 있을 뿐이어서 이 상황이 얼떨떨하기만 했다.
그렇다고 공사장 외 상황은 볼 수 없었던 임꺽정 씨가 잘못했다고 할 수도 없었다.
작업 중이던 굴착기 vs. 경고를 무시한 운전자, 배상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
과실비율작업 중 생긴 교통사고,
배상 책임은 중장비업체에
- 작업자들의 경고 여부와 무관하게 중장비업체는 사고에 대한 배상 책임
- 일단, 정황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겠으나 작업 중에 생긴 교통사고는 중장비업체의 책임하에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 사고의 핵심은 ‘주변 작업자들이 직진하던 일반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의를 시킨 행위가 중장비업체의 과실을 면해줄 수 있는가’하는 문제이다.
작업장에서 굴착기를 운전한 것은 홍길동 씨이며, 운전 신호를 관장하던 것은 임꺽정 씨, 차량에 주의를 시킨 것은 주변의 작업자들이다. 일반적으로 보조자가 통행과 작업의 원활함을 위하여 교통 통제를 할 수는 있으나 실제 차량을 움직이는 것은 운전자의 결정 사항이다. 보조 운전자가 전체 교통 상황을 통제할 권리를 갖고 있지는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후진 행위에 대한 결정은 홍길동 씨가 하는 것이고 이에 대한 과실을 인정하여 중장비업체가 일반 차량 운전자인 전우치 씨에게 배상할 책임을 져야 한다. - 경고를 무시한 일반 차량의 과실도 일부 인정
- 작업자들이 직진하지 말라고 주의를 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무리하게 직진을 해서 사고를 당한 전우치 씨에게도 일부 과실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경우, 굴착기 운전자의 부주의가 더 크다고 볼 수 있어서 전우치 씨의 과실은 10~20% 정도로 볼 수 있으며, 만일 굴착기가 전진중이었다며 전우치 씨의 차량 역시 굴착기의 운행을 예측하고 방어 운전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해서 과실 비중은 더 높아지게 된다.
최대 50%까지 과실 범위가 산정될 수도 있다.
"유형별 과실은 도로상황이나 교통흐름 등에 따라 다소 상이해질 수 있으며 본 자료는 참고자료이므로 법적효력은 갖지 않습니다"
- 이전글
- 이전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