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용이율공시

삼성화재 적용이율공시를 안내해 드려요

공시기준이율 산출방법

공시기준이율 산출방법 신공시이율Ⅰ, 신공시이율 Ⅱ, 보장성공시이율Ⅰ, 저축성공시이율Ⅰ, 연금저축공시이율Ⅰ
신공시이율Ⅰ
  • 공시기준이율: (운용자산이익률 + 지표금리수익률) / 2
    • 운용자산이익률: 저축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6개월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3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2
  • 하한: 공시기준이율 × 80%
신공시이율 Ⅱ
  • 공시기준이율: (운용자산이익률 + 지표금리수익률) / 2
    • 운용자산이익률: 유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6개월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3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2
  • 하한: 공시기준이율 × 80%
보장성공시이율Ⅰ
  • 공시기준이율: (운용자산이익률 + 지표금리수익률) / 2
    • 운용자산이익률: 보장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3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4
  • 상한: 공시기준이율 × 120%
  • 하한: 공시기준이율 × 80%
저축성공시이율Ⅰ
  • 공시기준이율: (운용자산이익률 + 지표금리수익률 ) / 2
    • 운용자산이익률: 저축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3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4
  • 상한: 공시기준이율 × 120%
  • 하한: 공시기준이율 × 80%
연금저축공시이율Ⅰ
  • 공시기준이율 : (운용자산이익률 + 지표금리수익률 ) / 2
    • 운용자산이익률: 유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3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4
  • 상한: 공시기준이율 × 120%
  • 하한: 공시기준이율 × 80%
보장성공시이율Ⅱ
  • 공시기준이율: 외부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보장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 / B + C) / (A + 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 / (a + b + c + d), 회사채 가중치(β2) = b / (a + b + c + 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 / (a + b + c + 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 / (a + b + c + d)
      단, a, b, c, d는 보장성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공시기준이율 × 110%
  • 하한: 공시기준이율 × 90%
저축성공시이율Ⅱ
  • 공시기준이율: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저축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 / B + C) / (A + 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 / (a + b + c + d), 회사채 가중치(β2) = b / (a + b + c + 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 / (a + b + c + 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 / (a + b + c + d)
      단, a, b, c, d는 저축성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공시기준이율 × 110%
  • 하한: 공시기준이율 × 90%
연금저축공시이율Ⅱ
  • 공시기준이율: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유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 / B + C) / ( A + C )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 / (a + b + c + d), 회사채 가중치(β2) = b / (a + b + c + 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 / (a + b + c + 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 / (a + b + c + d)
      단, a, b, c, d는 유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공시기준이율 × 110%
  • 하한: 공시기준이율 × 90%
보장성공시이율Ⅲ
  • 공시기준이율: 외부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보장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보장성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공시기준이율 × 120%
  • 하한: 공시기준이율 × 80%
저축성공시이율Ⅲ
  • 공시기준이율: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저축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저축성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공시기준이율 × 120%
  • 하한: 공시기준이율 × 80%
연금저축공시이율Ⅲ
  • 공시기준이율: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유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유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공시기준이율 × 120%
  • 하한: 공시기준이율 × 80%
무배당연금저축공시이율Ⅰ
  • 공시기준이율: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무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무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공시기준이율 × 120%
  • 하한: 공시기준이율 × 80%
보장성공시이율Ⅳ
  • 공시기준이율: 외부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보장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보장성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공시기준이율 × 130%
  • 하한: 공시기준이율 × 70%
저축성공시이율Ⅳ
  • 공시기준이율: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저축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저축성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공시기준이율 × 130%
  • 하한: 공시기준이율 × 70%
연금저축공시이율Ⅳ
  • 공시기준이율: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유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유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공시기준이율 × 130%
  • 하한: 공시기준이율 × 70%
무배당연금저축공시이율Ⅱ
  • 공시기준이율: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무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무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공시기준이율 × 130%
  • 하한: 공시기준이율 × 70%
보장성공시이율Ⅴ
  • 공시기준이율: 외부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보장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보장성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저축성공시이율Ⅴ
  • 공시기준이율: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저축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저축성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연금저축공시이율Ⅴ
  • 공시기준이율: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유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유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무배당연금저축공시이율Ⅲ
  • 공시기준이율: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무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무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정기예금이율연동
  • 보험개발원이 공시하는 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월평균이율을 반영하여 매월 산출
  • 공시기준이율은 계정별로 구분하여 산출합니다.
    다만, 계정별 자산규모가 작아 구분 산출이 어려운 경우 회사가 정한 기준에 따라 계정구분 없이 산출할 수 있습니다.

공시기준이율 및 적용이율

공시기준이율 및 적용이율 이율구분, 공시기준이율, 조정율, 적용이율 구성
이율구분 공시기준이율 조정율 적용이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