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안전가이드를
확인해 보세요

안전 대처요령

  • 20~50% 이상 감속하세요
    빗길에서는 양호한 상태의 도로별 법정 제한속도에서 20% 이상 감속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100km/h 도로는 80km/h, 80km/h 도로는 64km/h가 법정 제한속도가 됩니다.
    장마철에 폭우나 물안개로 가시거리가 100m 이내인 경우는 50% 이상 감속해야 합니다.
    커브길은 커브 진입 전에 충분히 감속해야 미끄러지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젖은 노면일수록 안전거리는 곧 생명거리예요
    젖은 노면은 속도가 빠를수록 급제동 시 정지거리가 길어지는데 대개 마른 노면과 비교하면 40~50% 더 길어집니다. 따라서 가장 많은 사고 유형인 차량 추돌사고나 차로 변경 중 측면 접촉사고를 예방하려면 충분한 안전거리가 꼭 필요합니다.
    마른 노면과 젖은 노면의 정지거리: 저속(40km/h)일 때는 24~25m로 비슷하고, 고속(80km/h)일 때는 마른 노면 약 60m, 젖은 노면 약 84m로 젖은 노면이 40%(24m) 더 길어집니다.
    정지거리=반응거리(공주거리)+제동거리
  • 수막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천천히 달리세요
    수막현상은 물이 고인 도로 위를 자동차가 고속주행할 경우 타이어와 노면 사이에 형성된 수막으로 인해 차가 마치 물위의 수상스키처럼 달리게 되어 방향성을 잃고, 급제동 시 제동거리가 길어지는 매우 위험한 현상입니다.
    수막현상을 방지하려면 타이어 트레드(지면과 맞닿는 접지부)가 마모되지 않은 양호한 타이어(홈의 깊이 약 2mm 이상 유지, 자동차관리법 안전기준 1.6mm 이하)에 적정한 압력의 공기를 넣고 운행해야 합니다.
    또한 젖은 노면에서는 속도를 늦춰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마찰력을 회복시킵니다. 타이어의 공기압을 적정하게 유지하고, 고속주행 시에는 적정 압력값에서 10~20% 더 주입합니다.
    일반 승용차 적정 공기압: 28~32psi(자동차 종류와 모델별로 다름에 유의)
  • 반드시 전조등을 켜고 운행하세요
    보행자는 비가 오면 가까운 곳에서 무단횡단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므로 매우 주의해야 합니다. 전조등을 켜면 차량 간 사고는 물론 차와 사람이 부딪히는 사고 예방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 물웅덩이 통과 후 브레이크 밀림에 주의하세요
    자동차가 물 고인 웅덩이를 통과한 직후에는 브레이크 패드나 라이닝이 물에 젖어 마찰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급제동 시 정지거리가 길어집니다. 이를 예방하려면 물웅덩이를 통과한 직후 안전한 곳에서 브레이크 페달을 가볍게 2~3회 밟아 주세요.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의 마찰열에 의해 젖은 물기를 쉽게 말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