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시이율Ⅰ |
- 공시기준이율: (운용자산이익률 + 지표금리수익률) / 2
- 운용자산이익률: 저축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6개월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3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2
- 하한: 공시기준이율 × 80%
|
신공시이율 Ⅱ |
- 공시기준이율: (운용자산이익률 + 지표금리수익률) / 2
- 운용자산이익률: 유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6개월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3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2
- 하한: 공시기준이율 × 80%
|
보장성공시이율Ⅰ |
- 공시기준이율: (운용자산이익률 + 지표금리수익률) / 2
- 운용자산이익률: 보장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 지표금리수익률: {국고채(3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4
- 상한: 공시기준이율 × 120%
- 하한: 공시기준이율 × 80%
|
저축성공시이율Ⅰ |
- 공시기준이율 : (운용자산이익률 + 지표금리수익률 ) / 2
- 운용자산이익률 : 저축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 지표금리수익률 : {국고채(3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4
- 상한 : 공시기준이율 × 120%
- 하한 : 공시기준이율 × 80%
|
연금저축공시이율Ⅰ |
- 공시기준이율 : (운용자산이익률 + 지표금리수익률 ) / 2
- 운용자산이익률 : 유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 지표금리수익률 : {국고채(3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4
- 상한 : 공시기준이율 × 120%
- 하한 : 공시기준이율 × 80%
|
보장성공시이율Ⅱ |
- 공시기준이율 : 외부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 보장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 / B + C) / (A + 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 / (a + b + c + d), 회사채 가중치(β2) = b / (a + b + c + 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 / (a + b + c + 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 / (a + b + c + d)
단, a, b, c, d는 보장성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 공시기준이율 × 110%
- 하한 : 공시기준이율 × 90%
|
저축성공시이율Ⅱ |
- 공시기준이율 :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 저축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 / B + C) / (A + 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 / (a + b + c + d), 회사채 가중치(β2) = b / (a + b + c + 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 / (a + b + c + 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 / (a + b + c + d)
단, a, b, c, d는 저축성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 공시기준이율 × 110%
- 하한 : 공시기준이율 × 90%
|
연금저축공시이율Ⅱ |
- 공시기준이율 :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 유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 / B + C) / ( A + C )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 / (a + b + c + d), 회사채 가중치(β2) = b / (a + b + c + 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 / (a + b + c + 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 / (a + b + c + d)
단, a, b, c, d는 유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 공시기준이율 × 110%
- 하한 : 공시기준이율 × 90%
|
보장성공시이율Ⅲ |
- 공시기준이율 : 외부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 보장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보장성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 공시기준이율 × 120%
- 하한 : 공시기준이율 × 80%
|
저축성공시이율Ⅲ |
- 공시기준이율 :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 저축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저축성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 공시기준이율 × 120%
- 하한 : 공시기준이율 × 80%
|
연금저축공시이율Ⅲ |
- 공시기준이율 :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 유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유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 공시기준이율 × 120%
- 하한 : 공시기준이율 × 80%
|
무배당연금저축공시이율Ⅰ |
- 공시기준이율 :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 무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무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 공시기준이율 × 120%
- 하한 : 공시기준이율 × 80%
|
보장성공시이율Ⅳ |
- 공시기준이율 : 외부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 보장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보장성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 공시기준이율 × 130%
- 하한 : 공시기준이율 × 70%
|
저축성공시이율Ⅳ |
- 공시기준이율 :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 저축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저축성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 공시기준이율 × 130%
- 하한 : 공시기준이율 × 70%
|
연금저축공시이율Ⅳ |
- 공시기준이율 :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 유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유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 공시기준이율 × 130%
- 하한 : 공시기준이율 × 70%
|
무배당연금저축공시이율Ⅱ |
- 공시기준이율 :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 무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무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상한 : 공시기준이율 × 130%
- 하한 : 공시기준이율 × 70%
|
보장성공시이율Ⅴ |
- 공시기준이율 : 외부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 보장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보장성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저축성공시이율Ⅴ |
- 공시기준이율 :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 저축성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저축성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연금저축공시이율Ⅴ |
- 공시기준이율 :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 유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유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무배당연금저축공시이율Ⅲ |
- 공시기준이율 : 지표금리수익률 × α + 운용자산이익률 × (1 - α)
- 운용자산이익률 : 무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운용자산 1년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운용자산은 당기손익에 반영되지 않은 운용자산관련 미실현손익을 제외한 금액을 기초로 계산)
- 지표금리수익률 : 국고채(5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1 + 회사채(3년,AA-)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2
+ 통안증권(1년)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3 + 양도성예금증서(91일) 3개월 가중평균수익률 × β4
- 외부지표금리의 가중치(α) = (A/B+C)/(A+C)
단, A : 직전년도초 보험료 적립금, B : 자산의 직전년도말 듀레이션, C : 직전년도 수입보험료
- 국고채 가중치(β1) = a/(a+b+c+d), 회사채 가중치(β2) = b/(a+b+c+d)
통안증권 가중치(β3) = c/(a+b+c+d), 양도성예금증서 가중치(β4) = d/(a+b+c+d)
단, a, b, c, d는 무배당 연금저축 특별계정의 국내 발행 국공채(a), 회사채(b), 통안증권(c), 양도성예금증서(d)의 직전년도 평균잔고를 적용
|
정기예금이율연동 |
- 보험개발원이 공시하는 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월평균이율을 반영하여 매월 산출
|